단일 서버
장점
- DB를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 없다
- 테스트 서버로 빠르게 구축
단점
- 서비스 장애 확률 높다. 앱과 DB 가 같은 자원을 공유하고 있어서 서버 하드웨어 장애 대응이 힘들다.
- 서버 자원 활용이 힘들다.
서버 단위의 로드 밸런서
-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직접 통신하는것이 아닌 로드밸런서와 통신한다.
- 스케일 아웃이 가능하다
- 서버의 장애에 유연하다. 1서버가 망가져도 2서버에 할당하면 되기 때문이다.
- OSI 레이어의 L4스위치는 로드밸런서의 역할이다.
단점
- 로드밸런서에 장애가 생기면 다른 서버에도 문제가 생긴다
- 구성이 복잡하다
서버 내 앱 단위의 로드 밸런서
- 여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 요청을 분산시키는 앱 단위의 로드밸런서
-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단일 서버
장점
- DB를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 없다
- 테스트 서버로 빠르게 구축
단점
- 서비스 장애 확률 높다. 앱과 DB 가 같은 자원을 공유하고 있어서 서버 하드웨어 장애 대응이 힘들다.
- 서버 자원 활용이 힘들다.
서버 단위의 로드 밸런서
-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직접 통신하는것이 아닌 로드밸런서와 통신한다.
- 스케일 아웃이 가능하다
- 서버의 장애에 유연하다. 1서버가 망가져도 2서버에 할당하면 되기 때문이다.
- OSI 레이어의 L4스위치는 로드밸런서의 역할이다.
단점
- 로드밸런서에 장애가 생기면 다른 서버에도 문제가 생긴다
- 구성이 복잡하다
서버 내 앱 단위의 로드 밸런서
- 여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 요청을 분산시키는 앱 단위의 로드밸런서
-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단일 서버
장점
- DB를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 없다
- 테스트 서버로 빠르게 구축
단점
- 서비스 장애 확률 높다. 앱과 DB 가 같은 자원을 공유하고 있어서 서버 하드웨어 장애 대응이 힘들다.
- 서버 자원 활용이 힘들다.
서버 단위의 로드 밸런서
-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직접 통신하는것이 아닌 로드밸런서와 통신한다.
- 스케일 아웃이 가능하다
- 서버의 장애에 유연하다. 1서버가 망가져도 2서버에 할당하면 되기 때문이다.
- OSI 레이어의 L4스위치는 로드밸런서의 역할이다.
단점
- 로드밸런서에 장애가 생기면 다른 서버에도 문제가 생긴다
- 구성이 복잡하다
서버 내 앱 단위의 로드 밸런서
- 여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 요청을 분산시키는 앱 단위의 로드밸런서
-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Mysql 5.7 재부팅시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해결 방법 (1) | 2023.10.04 |
---|---|
[2. 운영 서버 환경의 구성] AWS EC2를 이용한 서버 인스턴스 생성과 관리 (0) | 2023.06.19 |
Github Action 하나로 자동 배포 WorkFlow 만들기 ( Spring Boot ) (0) | 2023.03.31 |
가비아 도메인 Tistory 블로그에 연결하기 ( 비공개연결 해결하는법) (0) | 2023.03.21 |
[Optimizing Java] JVM 이야기 (1)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