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3 [2. 가상화의 원리와 기술] VLAN, 오버레이 네트워크, VPN, SDN, NFV, SD-WAN 이론 VLAN 물리적 네트워크 LAN를 분할하여 논리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기술 주로 PORT LAN 기술을 이용한다. 포트별로 번호를 매기고 그룹화 한다. 다른 포트간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포트간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논리 네트워크 분할인 VLAN을 구축한다. 이를 구현한 기술은 TAG LAN이다. TAG라는 식별자(데이터 프레임)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그룹을 나누는 기술이다. ( 혹시 서로 다른 VLAN 이여도 라우팅 기능의 장비를 통해 전송 가능하다. ) 그럼 중앙의 Trunk Port란, 복수개의 VLAN에 소속된 포트를 Trunk port라고 한다. ( 그림의 왼쪽 스위치는 Vlan10,20,30에 속해있음 ) 참고 LAN은 OSI 7 계층 중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에 속한다... 2023. 6. 19. [4. 운영 서버의 외부 환경 구성] 도메인, DNS 도메인 서버 도메인과 해당 도메인에 연결된 IP 주소를 관리하는 서버 DNS 서버 구조 루트 서버(Root Server):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최상위에 위치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서버입니다. 루트 서버는 최상위 도메인(.com, .net, .org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DNS 쿼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권한 부여와 중계 역할을 수행합니다. 관리자 서버(TLD Server): TLD(Top-Level Domain) 서버 또는 관리자 서버는 최상위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com, .net, .org와 같은 최상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가 관리자 서버입니다. 관리자 서버는 해당 최상위 도메인에 속한 도메인의 네임 서버 정보를 제공하고, DNS 쿼리에 응답합니다. .. 2023. 6. 19. [기초 Network #1] IP, TCP/UDP, DNS, URI, URL 그리고 전송과정 학교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수강하였지만, 2학년때 어째서 배워야 할지도 모른 채 배워 부족한 부분을 많이 느껴 정리하고자한다. 해당 글은 김영한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을 듣고 정리하였다. 컴퓨터는 어떻게 통신할까? 이는 너무 두리뭉실하다 . 사실 메세지 쏘면 알아서 내가 보내고픈 곳으로 보내고 res를 받고싶다. 그러나 세상에는 이런 보내는것에도 규약(Protocol)이 있다. 이것을 인터넷 프로토콜 이라고 한다. 어떻게 통신을 할지 규칙을 정해 놓은것이다. 이 규약은 스택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각 기능들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과정들을 설명하기 편하게 계층으로 나눠놓을것이다. 강의에서는 4계층으로 설명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 Internet Protocol )의 구성 이 규약을 .. 2022. 4. 16. 이전 1 다음